(음식의 역사) 아메리카노
차가운 겨울날 잘 먹는 음료 중에 하나가 아이스 아메리카노 이다.
진한 에스프레소 커피에 뜨거운 물을 부은 것이 바로 아메리카노다. 에스프레소가 너무나 써서 마시기 힘드니까 물을 부어 희석시켜 마셨던 커피다. 비유하자면 커피라고는 생전 마셔보지 못했던 옛날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가 새로운 음료가 쓰기만 하고 맛은 없으니까 설탕 쏟아붓고 크림 퍼부어 길쭉한 다방 커피를 마셨던 것과 비슷하다.
아메리카노 이름은 제2차 세계대전때 이탈리아에 주둔한 미군 병사들이 현지인들이 주로 마시는 진한 에스프레소가 부담스러워 뜨거운 물을 부어 연하게 희석시켜 마신 것에서 비롯됐다. 찬란했던 문화왕국 로마제국의 후손들 눈으로 봤을 때 커피 맛 하나 제대로 즐길 줄 모르는 것으로 보였으니, 멀리 아메리카 촌구석에서 온 것들이 마시는 커피라는 뜻에서 아메리카노라는 이름이 생겼다.
연한 커피를 연하게 마시려면 여러 방법이 있다. 드립 커피를 마시는 것도 방법이다. 커피 원두를 갈아 뜨거운 물을 통과시키면서 커피를 추출하면 연한 커피를 마실 수 있다. 분쇄한 원두 입자가 굵을수록 커피는 연해진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아메리카노다. 에스프레소에 물을 부어 희석시키면 끝이다. 에스프레소는 미세한 커피 분말에 수증기를 강한 압력으로 통과시켜 커피 원액을 추출한다. 때문에 드립 커피와 에스프레소에 물을 탄 아메리카노는 맛이 다르다.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깔끔한 맛과 깊은 맛의 차이 정도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탈이아에 진군했던 미군들이 진한 에스프레소를 물을 타서 마신 것은 어떤 이유인가? 그 이유에 대해서는 보스턴 차 사건으로 기원을 보고 있다. 1773 12.16일. 영국의 식민지였떤 미국 주민들이 보스턴 항구에 정박 중이던 영국 동인도 회사의 선박을 습격해 배에 싣고 있던 차 상자를 모두 바다에 던져버렸다. 보스턴 차 사건은 영국 정부가 동인도 회사에 차 무역의 독점권을 부여하면서 식민지 상인들의 차 무역을 금지시켰기 때문에 일어났다. 동인도 회사를 거치지 않고 식민지 상인이 직접 수입하는 차에 대해서 고율의 수입관세를 부과했던 것이 발단이 됐다.
식민지의 지도계층이지만 고사 위기에 놓이게 된 식민지 차 수입 상인들이 크게 반발했고, 높은 관세로 인해 차 가격이 턱없이 비싸지자 최종 소비자들인 주민들의 불만도 높아졌다. 갈등의 극단에서 폭발한 것이 보스턴 차 사건이지만 이우헤도 영국에서 수입해오는 홍차에 대한 불매운동이 지속됐다.
매일 홍차를 마시던 사람들이 어느 날 갑자기 차를 끊기란 쉽지 않다. 홍차는 가격도 폭등한 데다 자칫 매도당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마실 수가 없었기에 다른 대체품이 필요했는데 바로 커피였다.
미국에서 커피가 널리 보급된 계기는 홍차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 그러니 커피를 마실 때도 최대한 홍차와 비슷하게 마시려고 했다. 커피를 묽게 타면 색깔도 진한 홍차와 비슷해질 뿐더러 커피를 진하게 추출한 에스프레소와는 달리 차 맛에 조금 더 가깝게 마실 수 있다.
출처:음식이 상식이다.